생활상식

생활과학상식 - 지질학

페이투페이 2019. 6. 10. 15:05

안녕하세요.

이번 페이투페이 티스토리블로그에서는

생활과학상식 중 지질학에 대해 알려드리기위해 글을 작성해보려합니다.

 

 

1. 지질학이란.

 지질학(地質學/geology)은 지구를 이루고 있는 물질들과 이들 물질들의 형성 과정 및 지구의 역사, 그리고 지구에 생존하였던 생물들의 오래된 화석 따위를 연구하는 자연과학의 한 분야를 뜻합니다. 지질학은 고대 그리스의 학자 테오프라스토스(그리스어: Θεόφραστος, 기원전 371년~기원전 287년)가 저술한 Peri Lithon(그리스어: Περὶ λίθων, On Stones)에 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근대적 학문으로서 틀이 잡히기 시작한 것은 18세기에 들어서입니다. 지질학과 직접 관련된 학문 분야로는 광상학, 고생물학, 퇴적학, 암석학, 광물학, 주변 학문으로는 지리학, 화학, 물리학, 천문학 등을 예로 들을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지구물리학, 지구화학과 합해지는 추세입니다.

 

2. 지질학의 분야 및 사회적 관점.

 많은 분들이 지질학에 대해서 이미 고등과정 지구 과학때 학습하셨을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아주 이론적인 부분에서만 접근하였기에 지금까지 지질학에 대해 기억하시는 분들은 극히 드물거라 판단됩니다. 지질학은 연구하는 주요 주제에 따라 몇 가지로 분류되는데, 고등학교 과학 분류체계와 비슷하게 분류하면, 지구물리, 지구화학 및 고생물학으로 나뉜다고 말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다르게 분류됩니다.

 오늘날 암석학, 고생물학, 퇴적학, 구조지질학 분야에서는 "어렵다"는 이유로 학습자 즉 학생수가 너무 적어 문제를 야기한다고 합니다. 반면에 첨단 기기를 이용해야하는 광물학, 지구물리학 분야에서는 대체적으로 학습자수가 많다고 볼 수 있습니다. 1970년 이후, 지질학 분야의 기저에 판구조론이 합해진 상태이며, 수치모델링, 인공위성 등이 지구물리학에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기후변화 문제가 중요해지면서 빙하를 연구하는 분야도 매우 강세입니다. 빙하학은 지질학, 대기학, 해양학 등 모든 분야가 중첩되고, 빙하라는 물질 자체가 지질학에 포함되는 연구대상으로 간주합니다. 빙하 자체로도 퇴적암의 일종이자 광물이라서이 빙하가 가둔 기포 즉 공기는 지질학에서는 포유물(inclusion)이라고 뜻하고, 연구는 대체적으로 대기화학적인 방법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엔 지질학의 야외조사(field research)에 대해 알아보면, 야외조사는 무척 힘들기 때문에 학생들이 힘들어서 그 분야를 금방 포기하게 됩니다. 더욱이 지질학 야외조사는 매우 위험할 수 있으며, 특정 분야의 야외조사나 모니터링은 목숨을 위협합니다. 야외조사를 하기 추천할 만한 곳은 하나같이 위험한 곳인데, 고속도로의 옆, 깊은 숲 속, 동굴, 절벽 등 화산 폐광, 화산 등이 있습니다. 더군다나 한국에서 지질학의 야외조사는 더욱 어렵고 오지에 연구를 하기 위해 많은 개월 수 동안 텐트 생활을 하며 연구를 해야합니다. 더욱이 야외에 나가서 관찰한다고 다 할 수 있는게 아니라, 상당한 지식과 경험 노하우가 더해져야지만 성공적인 야외조사를 할 수 있으므로 많은 세월을 갈고 닦아야 합니다. 더욱이 최근 젊은이들 사이에서 지질학의 야외조사나 지질학자가 꿈인 사람을 찾아보기 드물어 많은 지질학자들이 걱정을 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이러한 사회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 모두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그림1.지질학

 

3. 지질학자에 대한 꿈 키우기 활성 방안.

 최근 중·고등학생에게 미래의 꿈에대해 물었을때, 과학자나 역사학자, 지질학자가 되고 싶다고 말하는 학생은 드뭅니다. 이런 사회적 현상은 어디로 부터 온 것일까요? 그림2에서도 볼 수 있듯이 청소년 장래희망 직업순위에 교사와 연예인, 공무원 등 대체적으로 안정적인 직업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상황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최근 한국의 경기 침체에 따라 안정적인 직업군을 추구하는 사회적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림2.청소년 장래희망 직업 순위(상위10위권)

 또한 그림3에서도 볼 수 있듯이 희망하는 직업에 대한 고려 사항도 기대소득과 사회적평판 안정성 등이 높으며, 개인적성과 흥미는 기대소득과 안정성에 비해 많이 낮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림3.희망하는 직업에 대한 고려 사항

 

 이러한 사회적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과학이나 지질학에 많은 관심을 보일 수 있도록, 과학 박람회를 통해 흥미를 일깨우는게 많은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학교에서도 이론 부분에만 충실하여 학생들에게 학습을 주입시키기보다는 다양한 실습이나 경험을 통해 흥미를 제공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